혼변조 - Cross Modulation
증폭기와 같은 능동 회로에 둘 이상의 신호가 입력될 때, 상호 변조를 일으켜서 두 신호 주파수의 합과 차의 주파수에 해당하는 신호가 발생하는 것을 혼변조라고 한다. 이것은 원하는 신호에 대하여 방해 신호로서 작용하며, 왜율로서 그 크기를 나타낸다. 혼변조는 RF에서도 나타난다. 즉, 지역 송신소의 인접한 주파수에서 혼변조가 발생한다. (여기서 인접했다 함은 송신소의 신호강도에 따라 10kHz에서 200kHz 떨어진 범위를 말한다). 이 현상은 신호가 약한 인접 채널에서 지역 송신소의 오디오가 들리는 것이다. 예를 들면, 지역 송신소에서 1,430 kHz로 강한 전파를 발사할 때, 1,420 1,440 1,410 1,450 kHz에서 1,430 Hz에서 송신하는 오디오가 들리는데 이를 혼변조라고 한다. 혼변조는 수신기의 문제가 아닌, 측파대에 오디오 신호가 넓게 퍼지는 과변조와는 완전히 다르며, 혼변조는 순전히 송신기에서의 문제이다. 혼변조 영향은 다른 송신소의 캐리어가 있을 때만 들리게 된다. 만일 지역 송신소의 신호가 1455kHz에서 들린다면 이는 혼변조에 의한 것이 아니라 과변조나 측파대에 의한 것이라고 보아야 할 것이다.
통신 용어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