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닉스 - UNIX
유닉스(UNIX)는 1969년 미국 AT&T의 벨연구소에서 켄 톰슨(Ken Thompson)의 주도하에 개발된 운영체제(OS)로서, 개발자 자신들의 주된 작업인 프로그래밍에 관한 연구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수행하기에 적당한 작업환경을 만드는 것을 목표로 만들어졌다. 유닉스는 처음에는 미니급 이상의 중대형 기종에서 주로 사용되었으나, 워크스테이션의 보급으로 사용영역이 점차 확대되어 지금은 속도가 빠른 386 PC에서도 아주 효율적으로 이용되고 있으며, 차츰 교육용으로 개발되어 현재는 대학이나 연구기관 등에서 널리 각광받고 있다. 유닉스는 시스템의 90% 이상이 C언어로 씌어지고, 다른 운영체제와는 달리 시스템 프로그램이 공개되어 있어 시스템의 변경이 용이하고 간단하며, 하드웨어에 구애됨이 없이 거의 모든 기종에 이식이 가능한 운영체제이다. 또한, 사용자의 명령을 실행하고 응답을 주는 대화식 시스템이며, 동시에 여러 작업을 수행할 수 있고(multi-tasking system), 두사람 이상의 사용자가 동시에 사용(multi-user system)할 수 있다. 유닉스 시스템은 크게 커널(Kernel), 쉘(shell), 파일 시스템(file system)의 세 부분으로 구성된다. 커널은 운영체제의 핵심이 되는 부분으로 항상 주기억 장소에 상주하면서 프로세스 관리, 입.출력관리, 파일관리, 프로세스간의 통신 등의 기능을 수행한다. 다시 말해 유닉스 시스템 자신이 살고 있는 컴퓨터 시스템 자원들을 관리하는 부분으로 디스크, 테이프, 프린터, 단말기, 통신회로 등의 장치들을 관리한다. 쉘은 유닉스 명령어를 해석하는 명령어 해석기(command interpreter)로 운영체제와 사용자간의 인터페이스를 제공한다. 쉘은 유닉스 시스템의 일부분이 아닌 하나의 유틸리티 프로그램이지만, 사용자 쪽에서 보는 유닉스는 바로 이 쉘로서, 단말기를 통해 명령을 받고, 그 명령을 커널이나 다른 여러 유틸리티 프로그램을 작동시켜 실행한다. 그리고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들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부분으로, 계층적 구조(hierarchical structure)로 되어 있어 사용자간 또는 그룹간의 디렉토리 및 파일을 효과적으로 운용할 수 있다.
통신 용어집