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한요소법을 이용한 CAE 해석 프로그램을 사용하는
모든 설계자가 진동해석을 할 수 있도록 만들기 위한 영상!!!
네 번째 시간으로 주파수응답과 과도응답으로 분류되는 진동의 정의 방법을 소개합니다.
너무 익숙한 단어 `응답(Response)`
진동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에 가해진 하중과 사용자가 원하는 해석 결과를 결정하는 것이 선행되어야만 합니다. 지난 영상에서 배운 모드 해석의 경우 구조물에 어떠한 하중도 가해지지 않은 자유 진동에 관한 결과를 보여주었습니다. 반대로 구조물에 하중이 가해져서 발생한 강제 진동을 확인하기 위해서는 먼저 구조물에 가해진 하중에 대한 분류가 가능해야만 합니다.
진동해석을 위한 하중은 시간에 따라 정의될 수도 있고, 주파수에 따라 정의될 수도 있습니다. 해석 결과 역시 시간에 따른 해석 결과를 확인할 수도 있고, 주파수에 따른 해석 결과를 확인할 수도 있습니다.
강제 진동에 대한 해석을 수행하기 전에 하중과 해석 결과가 시간 차원과 주파수 차원으로 어떻게 정의될 수 있는지 확인하고 진동해석을 위한 기초를 쌓으시길 바랍니다. 이번 시리즈물을 통해 진동학 관련 이론 정리와 함께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CAE 해석 프로그램에서 각각의 해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배우고 해석 고수로 거듭나길 바랍니다.
😥 미리 보기는 여기까지!
내용을 이어서 보고 싶다면,
아래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