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 시간으로 자유진동에 대한 실무자 중심의 이론 설명을 모두 담았습니다.
생소할 수 있는 단어 `자유진동`. 동해석을 수행하기 위해서는 구조물에 아무런 힘을 받지 않는 상황에서 혼자 진동하는 현상인 자유진동에 대해 반드시 이해하고 있어야 합니다. 모든 구조물은 자유 진동할 때 고유진동수, 고유주기, 고유각진동수라는 고유한 특성이 있습니다.
구조물을 파괴 할 수도 있는 무서운 현상인 `공진`을 회피하기 위해서는 이 특성을 설계자가 제어할 수 있어야 합니다. 고유진동수는 어떤 물리량으로 인해 결정되는 것일까요? 내가 설계한 제품은 자유진동 하면서 어떤 모습으로, 어떤 방향으로 떨리는지 알아야 합니다. 이런 정보는 모드 해석 결과로 모드 형상을 확인하게 됩니다.
모드 형상의 의미는 무엇일까요? 영상을 통해서 자유진동을 확실하게 이해하고 다음 영상에서 소개될 `모드 해석`을 수행하기 위한 기초 이론을 탄탄하게 다져보시길 바랍니다. 이번 시리즈물을 통해 진동학 관련 이론 정리와 함께 유한요소법을 이용한 CAE 해석 프로그램에서 각각의 해석을 수행하는 방법을 배우고 해석 고수로 거듭나길 바랍니다.
😥 미리 보기는 여기까지!
내용을 이어서 보고 싶다면,
아래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