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Abstract
유동해석을 수행한 후 여러가지 방법을 통해 결과를 가시화하거나 데이터를 얻을 수 있습니다. 본 테크노트에서는 간단한 예를 통해 각 기능의 사용법에 대해 소개하도록 하겠습니다.
2. Technology
2-1. 해석 및 결과
해석이 완료되거나 해석 도중에 결과 파일 다시 읽기를 클릭하면 위와 같이 스텝별 결과가 표시됩니다. 원하는 스텝의 결과를 더블 클릭하면 화면에 표시됩니다. 결과가 표시되려면 해당 요소망이 활성화되어 있어야 합니다. 기본적으로 컨투어가 활성화 되어있어 컨투어로 표시됩니다. 컨투어 활성화는 다음 그림과 같이 리본 메뉴에서 가능합니다
2-2. 일반
2-2-1. 컨투어 유형
연속 불연속
컨투어 유형은 연속과 불연속이 있습니다. 선택에 따라 위 그림과 같은 차이를 보입니다.
2-2-2. 결과 선
결과선의 종류는 다음과 같으며 위 그림과 같이 표현됩니다.
선 없음 : 선을 표시하지 않습니다.
요소망 선 : 요소망 선을 표시합니다.
특징선 : 기하형상 엣지 등의 특징선을 표시합니다.
자유면 요소망 선 : 표면의 요소망 선만 표시합니다.
2-2-3. 다이어그램
구조해석 결과 중 1 차원 요소 결과에 대한 표시 여부를 결정합니다.
2-2-4. 채우기 유형
면 그리기 선 그리기
결과선의 종류는 다음과 같으며 위 그림과 같이 표현됩니다.
면 그리기 : 컨투어를 면으로 표시합니다.
선 그리기 : 컨투어를 선으로 표시합니다.
2-2-5. 변형 형상
유동해석의 경우 이동하는 물체는 유체 안에 있는 경우가 많습니다. 변형+변형 전 (요소망, 쉐이딩, 쉐이딩 투명)은 유체 부분으로 인해 구분하기 어렵습니다. 따라서 다음 3 가지를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변형+변형 전(특징 경계선) 기능은 변형 전과 변형 후의 위치를 비교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슬라이딩 메쉬 해석의 경우 스케일 크기를 실제 스케일로 설정해야 합니다.
변형 전 변형 후 변형+변형 전(특징 경계선)
2-2-6. 벡터
컨투어는 속도의 크기는 표시되지만 방향은 표현할 수 없습니다. 유동의 방향을 표현하기 위해서는 벡터를 사용해야 합니다. 벡터는 벡터와 절단면 벡터가 있습니다. 벡터는 활성화된 요소망의 모든 절점 벡터를 표시하는 경우 사용하고, 절단면 벡터는 특정
단면의 벡터를 표현하기 위해 사용합니다. 컨투어가 활성화되어 있는 경우 벡터가 잘 표현되지 않기 때문에 벡터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컨투어를 비활성화 해주는 것을 권장합니다.
절단면 벡터 정의 창
절단면 & 클리핑 정의 창에서는 벡터 표시 평면을 정의합니다. 절단면 벡터 정의창에서는 다음 사항을 선택할 수 있습니다. 평면 정의는 6 개까지 가능합니다.
절단면 컨투어 : 절단면에 컨투어도 함께 그려줍니다.
전체 모델 벡터 : 모든 절점에서 벡터를 그려줍니다.
절단면 벡터 투영 : 선택된 절단면으로 벡터를 투영하여 그려줍니다.
균등보기(솔리드) : 벡터를 균등하게 그려줍니다
균등보기 미적용시 균등보기 적용시
벡터의 크기나 길이 등은 좌측 하단의 속성창에서 정의할 수 있습니다.
2-2-7. 결과 색상
컨투어 모델(쉐이딩)
2-2-8. 스케일 조정
구조해석에서 변형에 의한 변위가 작은 경우 자동 스케일로 변형량을 과도하게 표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유동해석에서는 실제 이동 변위보다 과도하게 표현되면 혼란스러운 경우가 많기 때문에 실제 스케일로 사용하시는 것을 권장합니다. 레전드를 조정하고 싶은 경우에는 레전드를 우클릭하여 조절하거나 속성창 타입을 레전드로 선택하여 세부내용을 조절할 수 있습니다.
😥 미리 보기는 여기까지!
내용을 이어서 보고 싶다면,
아래 정보를 입력해 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