구조적 프로그래밍 - structured programming

기술용어통 반디통 용어집
구조적 프로그래밍이란 1979년대부터 세계의 주목을 받기 시작한 프로그래밍에 관한 이론으로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프로그램을 작성하는 데 있어 큰 프로그램을 한번에 작성하는 것이 아니라 기능별로 나누어 우선 부분별 작성을 한 다음, 각각의 작은 프로그램들을 서로 연결시켜 하나의 완성된 프로그램을 만든다. 예를들어 두더지 잡기라는 프로그램을 만든다고 가정할 때 우선 전체 프로그램을 기능에 따라 1. 화면에 두더지를 표시하는 부분 2. 두더지를 때렸을 때의 결과를 판정하는 부분 3. 게임을 종료시키는부분으로 나눌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그 다음 필요에 따라 각각의 부분을 다시 컴퓨터에 의해 특정한 수를 발생시키는 부분과 발생한 수에 의해 실질적으로 화면상에서 두더지가 표시되는 부분으로 나누며, 두더지를 때렸을 때의 결과를 판정하는 부분도 사용자로부터 숫자를 입력받는 부분과 입력받은 숫자와 컴퓨터가 계산한 두더지의 위치가 동일하면 점수를 가산하고 효과음을 내는 부분 등으로 나누어 작업 자체를 보다 구체화시킬 수 있다. 그리고 프로그램을 위한 구체적인 사항들이 모두 결정되고 나면 이제 자신이 선택한 프로그래밍 언어를 가지고 가장 작은 부분부터 프로그래밍 작업을 시작할 수 있다. 이처럼 구조적 프로그래밍은 프로그램화하고자 하는 작업을 구체적으로 나누면 나눌 수록 그 단계에서의 프로그래밍 작업이 줄러든다. 따라서 작업이 의외로 간단해 질 수 있으며 또한 프로그램 완성 전에도 작업의 전체적인 윤곽을 잡을 수 있어 프로그램의 파악이 용이하다. 그러므로 구조적 프로그래밍을 하기 위해서는 프로그램 자체보다는 우선 작업에 대한 구체적인 분석이 필요한데 작업의 분석은 가장 큰 테두리에서 부터 출발하여 그 아래 단계들을 좀 더 구체화시켜 일의 범위를 줄여나감으로써 가능해 진다.
기술용어통 category-communication 구조적 프로그래밍 structured programming

더 빠른 설계를 위한 첫 걸음!

해석 정확도를 높이고, 반복 작업을 줄여보세요.

내게 맞는 솔루션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