세장면 - silver surface

기술용어통 반디통 용어집

한 부품의 기하학적인 형상은 목표로 하는 기능을 포함한 여러가지 조건들에 의해 매우 간단한 형상에서부터 매우 복잡한 형상에 이르기 까지 매우 다양하다. 그리고 한 부품의 설계 형상은 도면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실제로 제작되어야 하기 때문에 복잡한 형상이라고 하더라고 기본적인 형상들의 조합으로 설계하는 것이 유리하다. 특히 컴퓨터를 활용한 설계 및 제작이 보편화 되어 있는 현대에서는 일일이 물체 각 지점의 기하학적 좌표값을 입력하기 보다는 기본 형상, -스플라인(B-spline), 너브곡면(nurve surface) 등과 같이 함수형식으로 표현되는 기하학적인 형상들을 조합하여 하나의 물체형상을 모델링하고 있다.

이러한 과정에서 한 부품의 특정한 영역에서는 폭과 길이의 비, 형상 종횡비(geometry aspect ratio)가 큰 국부형상이 생성될 수 있는데, 이와 같은 특징을 지닌 국부적인 곡면을 특별히 세장면이라고 부른다. 세장면은 제작공정 측면에서도 시간과 경비를 증가시키지만, 유한요소해석(finite element analysis)에서는 특히 문제시 된다. 그 이유는 세장면에서는 폭이나 길이가 상대적으로 매우 작기 때문에 비례적으로 많은 유한요소(finite element)가 생성되어 요소망(mesh)을 과도하게 조밀화 시키기 때문이다.

따라서 기능상 세장면을 그대로 유지할 필요가 있다고 하더라도 유한요소 해석을 위해서는 부품의 기하학적 형상을 수정하여 세장면이 나타나지 않도록 모델을 수정하여야 한다. 해석을 위해 설계모델을 그대로 사용하지 않고 국부적으로 수정해야 하는 이유가 바로 여기에 있다.

. C177

기술용어통 요소망 유한요소해석 유한요소 category-cae 비-스플라인

더 빠른 설계를 위한 첫 걸음!

해석 정확도를 높이고, 반복 작업을 줄여보세요.

내게 맞는 솔루션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