컴퓨터에서 계산이나 연산과 같은 작업을 간편하게 처리하기 위해서 비트나 문자로 된 정보를 하나 또는 그 이상 임시로 저장하는 장치를 레지스터(Resister)라고 한다. 만약 우리들이 속셈을 이용하여 (50-25) + (20-15)라는 계산식의 값을 구하려면 다음과 같은 절차를 밟게 된다. 1 (50-25)를 계산하여 25라는 값을 알아 낸다. 2 계산값 25를 머리 속에 잠시 기억해 놓는다. 3 (20-15)를 계산하여 5라는 값을 알아 낸다. 4 계산값 5 역시 머리속에 임시로 기억해 놓는다. 5 이제 1에서 기억해 놓은 25와 4에서 기억해 놓은 5를 더하여 정답 30을 알아낸다. 정답을 알아내기 위해서 우리는 25와 5라는 수치를 머리 속에 잠시 기억해 놓았다. 컴퓨터에서도 계산을 처리할 때 이와 같이 임시로 정보를 저장하는 장소가 필요한데, 이 장소가 바로 레지스터이다. PC의 경우 레지스터는 일반적으로 마이크로 프로세서의 내부에 위치하고 있다. 한편 레지스터는 정보를 저장하기 때문에 램이나 롬과 같은 기억장치인 것 같지만 극히 적은 정보를 임시로 기억하기 때문에 기억장치로 보지 않는 것이 일반 견해이다. 저장하는 정보의 종류 또는 작용에 따라 레지스터는 여러가지로 분류되는데 계산 및 논리 연산의 결과를 임시로 기억하는 레지스터를 누산기라고 하며, 기억 번지나 장치의 번지를 기억하는 레지스터를 번지 레지스터라고 한다. 이외에 뎃셈으로 더한 수 또는 곱셈으로 곱한 수등을 저장하는 산술 레지스터, 현재의 동작에 이어 다음 단계에 수행할 명령어의 번지를 갖는 제어 레지스터 및 상황에 따라 누산기나 기억 레지스터 또는 번지 레지스터의 기능을 수행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범용 레지스터등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