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로드 - preload

기술용어통 반디통 용어집

프리(pre-)라는 용어가 의미하듯이 외부에서 하중이 작용하기 전에 물체에 미리 부과되어 있는 예비하중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콘크리트 건축물을 시공할 경우, 콘크리트의 취성(brittle)에 따른 파괴를 방지하기 위해 연성(ductile)을 가진 철근을 내부에 넣어 콘크리트를 굳게 한다. 이러한 콘크리트 구조물을 철근으로 보강된 콘크리트(steel reinforced concrete) 구조물이라고 하고, 내부에 삽입되어 있는 철근에는 콘크리트가 굳는 동안 인장력을 가하여 콘크리트가 굳은 후에도 인장력을 계속 유지하도록 한다.

또 다른 예로는 현수교의 와이어 로우프(wire rope)가 될 수 있다. 와이어 로우프는 수 많은 금속 와이어들로 구성된 다발로 주행하는 차량을 실제로 지탱하는 교량을 지지하는 역할을 감당한다. 따라서 와이어 로우프가 교량을 지지하는 중에 와이어 로우프의 과도한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사전에 와이어 로우프에 엄청난 예비 인장력을 부여하고 있다. 또한 주물이나 플라스틱 성형과 같이 열처리 공정을 통해 제품을 만드는 경우, 성형공정 후 제품이 대기 중에서 냉각되는 동안 불균일 온도분포에 따른 잔류응력(residual stress)이 제품 내부에 존재하곤 하는데, 이 잔류응력 역시 프리로드의 일종이다.

유한요소 해석(finite element analysis)에 있어, 프리로드는 하중 조건의 일종으로 해석에 반영된다. 특히, 비선형 해석(nonlinear analysis)에 있어서는 비선형 해석을 시작하기 전에 프리로드에 의한 물체거동 해석을 미리 수행해야 한다.

. C207

기술용어통 비선형해석 유한요소해석 category-cae 프리로드

더 빠른 설계를 위한 첫 걸음!

해석 정확도를 높이고, 반복 작업을 줄여보세요.

내게 맞는 솔루션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