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정보는 다른 형태의 정보인 음성, 음향, 문자 등에 비해 그 양이 매우 크다. 따라서 이러한 화상을 압축시키고 이를 복원하는 기술이 나타나는데, 이 때 화상정보를 압축하는 압축기술의 국제 표준규격이 MPEG이다. 이는 CCITT(국제전신전화자문위원회)와 ISO(국제표준화기구)가 미국및 유럽의 제조업체들과 함께 만든 표준으로 화상정보를 100:1 정도로 줄일 수 있는 기준이 된다. cf. 다름 사전 - MPEG: 컬러 동화상의 디지털 압축/신장방식의 하나. ISO(국제표준화기구)와 IEC(국제전기표준회의)의 합동조직인 Moving Picture Experts Group(정식명칭 ISO/IEC JTC1 SC29/WG11의 속칭)이 표준화를 추진하고 있으며, 머리글을 따서 방식의 이름을 MPEG이라 한다. MPEG1-4까지의 레벨로 나눠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3은 2에 흡수). MPEG1은 1.5Mbps까지를 대상으로 하고, MPEG2는 3M∼40Mbps정도가 대상으로 93년 말에 규격이 완성됐다. MPEG4는 10kbps정도까지의 저속으로 이동통신 등이 대상으로 되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