IPTV

기술용어통 반디통 용어집
IPTV란 인터넷 네트워크를 광대역화하여, TV 및 비디오 신호를 인터넷 프로토콜을 이용하여 가입자나 시청자에게 제공하는 것을 말한다. 이러한 네트워크는 광대역 운영자에 의하여 제공되거나, 전용의 네트워크를 채택할 수도 있다. IPTV는 광대역 연결과, 다수의 미디어에 접속하려는 시청자의 요구를 처리할 수 있는 소프트웨어가 프로그램된 셋탑박스(혹은 개인용 컴퓨터)와 네트워크를 통하여 전송되는 양방향 디지털 방송신호로서 동작하며, 서비스로는 저장된 비디오(VOD)는 물론, 라이브 TV(멀티캐스팅)도 가능하다. IPTV에서 가장 기본이 되는 프로토콜은 IGMP(Internet Group management protocol) 버전2(라이브 TV용)와 RTSP(Real Time Streaming Protocol, VOD용)가 있다. 기존 분배모델에 대한 IPTV의 1차적인 장점은, 스트림 제공자에게 운영비용을 극적으로 감소시키는 분배자의 서버 기반구조는 물론, 연결된 클라이언트간에 data delivery workloads의 공유 방법을 제공한다는 것이다. IPTV에 사용되는 비디오 압축 포맷에는 MPEG-2, MPEG-4, H.264, WMV (Windows Media Video 9 및 VC1), XviD, DivX 및 Ogg Theora 등이 있다. 또한 IPTV는 각 시청자가 개별적인 방송을 볼 수 있게 하는 point-to-point 분배는 물론, 기준의 TV 분배에서 불가능했던 양방향 기능을 가진다. 이것은 스트림 콘트롤(pause, wind/rewind 등)과 기존의 협대역 인터넷에서처럼 프로그램의 자유로운 선택이 가능하다. 시청자의 TV는 IP 비디오를 디코드하고 이를 표준 TV신호로 변환하는 STB에 연결된다. 이 STB는 IP 비디오 스윗칭 시스템의 게이트웨이다. SVS(Switched Video Service) 시스템은 시청자가 방송 네트워크 채널, 가입자 서비스 및 Movies on demand에 연결되도록 해준다. 소비자는 TV의 리모콘을 사용하여 SVS에 제어명령을 보냄으로서 여러 가지 미디어에 접속할 수 있다. 셋탁박스는 시청자 또는 가입자의 요구를 프로세스하고, 요구된 미디어 유형을 디스플레이한다. 많은 비디오 소스가 있지만, 단지 하나의 비디오 채널만이 프로세스된다. IPTV는 출현하는 기술로서, 지상파, 위성 및 케이블 TV와 같은 기존의 TV와 경쟁 관계에 있다. 케이블은 양방향 기능으로 개선되고 있으며, 또한 IPTV를 전송할 수 있다. 일부 국가에서 VOD는 보통 DVB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케이블 TV로 배달되며, IPTV 서비스라는 이름은 붙어있지 않다. 또한 IPTV의 플랫폼에서는, 이른바 tripleplay라고 부르는 전화·데이터·비디오 서비스가 가능하다. 물론 tripleplay를 위해서는 IPTV와 IP 전화(Voice over IP, VoIP)를 사용해야 한다.
기술용어통 category-communication

더 빠른 설계를 위한 첫 걸음!

해석 정확도를 높이고, 반복 작업을 줄여보세요.

내게 맞는 솔루션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