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속체 - continuum body

기술용어통 반디통 용어집

지구상의 물체는 일정한 부피를 지니고 있으며 그 내부에는 물체를 구성하는 입자(particle)들이 결정체를 이루고 있다. 그 크기가 아무리 작다고 할지라도 하나의 입자로 구성된 물체는 찾아보기 힘들다. 이와 같이 구성입자들이 조밀하게 결정체를 이루고 있는 하나의 물체를 연속체라고 정의하고 있다.

공학적인 측면에서 연속체는 몇 가지 조건들을 만족시켜야 한다. 우선, 하중을 받아 그 형상이 변할지라도 인접한 입자들은 항상 붙어있어야 하는데, 그렇지 않고 떨어지게 된다면 물체는 파괴에 도달한 것이다. 이처럼 물체가 하중을 받아 쪼개지게 되면 더 이상 연속체라고 부르지 않는다.

다음으로 연속체 내에 임의 네 점을 연결하여 사각형을 그었다고 하였을 때, 물체가 변형(deformation) 하여도 사각형 모양은 그대로 유지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사각형이 8자 모양과 같이 뒤틀리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는 의미이다. 연속체라는 개념은 거시적(macroscopic) 측면에서의 관점으로서, 미시적(microscopic)인 측면에서는 연속체라는 용어는 더 이상 사용할 수 없다. 왜냐하면 미시적인 측면에서는 입자 알갱이 하나 하나의 거동을 분석하는 것으로 입자 덩어리 전체의 거동을 다루는 거시적 분석과는 큰 차이가 있기 때문이다.

. C146

기술용어통 category-cae 연속체

더 빠른 설계를 위한 첫 걸음!

해석 정확도를 높이고, 반복 작업을 줄여보세요.

내게 맞는 솔루션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