접촉탐색 - contact search

기술용어통 반디통 용어집

한 물체가 다른 물체와 접촉하게 되면 접촉하는 영역에서는 두 가지 물리적 조건이 수반된다. 첫째는 두 물체의 공통 접촉 경계(common contact interface)에서 상대방 물체의 내부로 침투해 들어갈 수 없는 비침투 조건(non-penetration condition)이고, 둘째는 접촉 경계에서 크기가 같고 방향이 반대인 힘을 서로 주고 받는다는 사실이다. 후자의 경우는 우리가 잘 알고있는 뉴튼의 제3법칙인 작용 반작용의 원리에 해당된다. 보다 전문적인 용어로 전자를 운동학적 구속조건(kinematic constraint) 그리고 후자를 접촉응력 구속조건(contact stress constraint)이라고 부른다.

이러한 접촉현상을 수치해석(numerical analysis)적으로 시뮬레이션하는 작업을 접촉해석(contact analysis)이라고 부르고 대부분의 조립체 해석을 위해 필수적으로 수반된다. 하지만 접촉해석에 있어 두 물체가 접촉하는지 그리고 접촉하게 되면 어느 부위가 얼마만큼 접촉하는지를 파악하는 것이 선행되어야 한다. 이러한 작업을 접촉탐색이라고 부르며, 크게 절점--면 접촉탐색(node-to-surface contact search) 방식과 면--면 접촉탐색(surface-to-surface contact search) 방식에 의하여 수행된다.

전자는 한 물체의 경계 상에 위치한 각 절점(node) 단위로 상대방과 접촉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인 반면, 후자는 한 물체의 경계 영역 단위로 상대방과의 접촉여부를 판단하는 방식이다. 두 가지 방식은 나름대로 장단점을 지니고 있지만, 후자의 방식이 많이 사용되고 있는 추세이다.

. C060

기술용어통 접촉해석 수치해석 category-cae 절점

더 빠른 설계를 위한 첫 걸음!

해석 정확도를 높이고, 반복 작업을 줄여보세요.

내게 맞는 솔루션 찾기