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간에 따라 변동하는 외부 하중을 받고 있는 물체의 동적 응답(dynamic response)을 시간이 아닌 주파수 영역에서 분석하는 주파수응답해석(frequency response analysis)을 상기해 보자. 실제 유한요소 해석을 위해 모델에 작용시키는 힘 크기의 평균값은 0인 주기 하중(periodic force)이다.
하지만, 물체에 실제로 작용하는 주기하중의 평균값은 0이 아닌 경우가 거의 대부분이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를 해석하기 위해서는 평균값이 0인 주기하중에 따른 응답과 적당한 크기를 갖는 정하중에 따른 정상상태 응답(steady-state response)을 더해야 한다.
여기서 적당한 크기의 정하중이란 평균값이 0인 주기하중을 실제로 물체에 작용하는 주기하중의 평균값과 일치하도록 진폭을 이동시킨 값이다. 그리고 이렇게 평균값이 0인 주기하중을 일정한 크기의 평균값을 가진 주기하중으로 그 크기를 전체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진폭 옵셋이라고 부른다.
예를 들어, 5kgf에서 25kgf까지 변하는 주기하중은 평균값이 0인 10kgf의 진폭을 가진 주기하중과 크기가 15kgf인 정하중의 합으로 대체시킬 수 있다. 그리고 이 두 가지 하중 케이스에 대한 해석결과를 합함으로써, 5kfg에서 25kgf까지 변하는 주기하중에 대한 물체의 실제 동응답을 구할 수 있다.
하지만 모든 상용 유한요소해석 프로그램에서 이러한 기능을 제공하는 것은 아니며, 설사 제공하고 있다고 하더라도 그 사용법을 완전히 익히기까지는 어느 정도의 시간과 노력이 요구된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