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도상에서 산의 지형을 나타내기 위해서 등고선을 사용하는데, 그 이유는 산의 지형은 3차원 형상인데 비해 지도는 2차원 평면이기 때문이다. 같은 높이에 있는 산의 지점들을 평면 상의 지도에 등고선을 사용하여 구별하는 것과 유사하게, 유한요소해석(finite element analysis)을 통해 구한 물체의 거동을 컴퓨터 화면상에 나타내기 위해서도 이러한 방식이 사용된다.
예를 들어 임의의 3차원 물체 내 온도 분포를 시뮬레이션으로 구하여 2차원 화면 상에 나타내기 위해서 동일한 온도를 가지는 물체의 지점들을 하나의 곡선으로 연결한 것이 등치선(isoline)이다. 그리고 온도분포를 보다 쉽게 가시화 하기 위하여 온도 값이 각기 다른 등치선에 각기 다른 색상을 부여하고 있다.
한편, 온도 값이 서로 다른 두 개의 등치선 사이 물체 영역을 등치면이라고 부르고 각 등치면에서는 각기 다른 색상을 부여한다. 색상은 낮은 온도에서부터 높은 온도로 일련의 칼라색상 혹은 진하기가 다른 회색(gray)으로 부여하는데, 이와 같이 온도 값에 따라 각기 다른 다수의 색상으로 세분화 시킨 것을 색상 범례(color spectrum)라고 부른다. 이 외에도 컴퓨터 화면상에서 물체의 거동을 보기 편하게 가시화 하는 방법에는 프린지 출력(fringe plot) 및 벡터 출력(vector plot) 등이 있다.
.